상작가 라지웅의 작업실이다. 두 사람은 서로의 영역을 넘나들며 활동하고 있다.
‘AAMU’ is the workshop of architect Yun-ju Hong and video artist Jiwoong Ra. The two are working across the fields of each other.
FAX. 02-309-2746
SITE. http://aamu.kr
SNS. https://instagram.com/aamu_studio
ADDRESS. 03914, 서울시 마포구 증산로 87, 비빌기지 103호 아무스튜디오한다.
는 건축과 일상에 관심을 가지고 ‘生活 – 살아 움직이는 – 건축’을 주제로 생활건축연구소를 운영한다. 2011년에 시작한 생활 밀착형 웹진 진짜공간(jinzaspace.com)은 도시와 공간의 연구 방법론을 실험하고 일상을 읽는 방법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다. 그 외 워크숍 및 협업 연구, 건축을 통해 건축가 주도의 공간이 아니라 개인들이 주체적으로 지은 생홍윤주(洪潤株, Hong, Yun-ju)
건축가 yunjuhong@hanmail.net
2017~ 아무스튜디오 대표
2013~ 생활건축연구소
2011~ 생활밀착형 건축웹진 『진짜공간 』 운영 http://JinzaSpace.com
2014~2018 Gate22 http://gate22.org 용산미군기지 반환관련, 미래의 모습을 고민하는 연구모임.
2019
[ 건 축 ] 스마일게이트캠퍼스 리뉴얼 설계 PM, 노노앤소소
2018
[ 건 축 ] 서울시 청년허브 공간조성 총괄전문가
[ 건 축 ] 강화주택 증축 설계 및 시공
[ 전 시 ] “커피사회” 참여작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문화역서울284
[ 전 시 ] “2018 THE SCRAP” 참여작가, THE SCRAP, 문화역서울284
[ 공 연 ] 클럽안전제일, 여름파티@문화비축기지 기획
[ 워크숍 ] 볍씨학교, (주)나무와사람들
2017
[ 건 축 ] "파주주택". 신축 설계 및 시공
[ 전 시 ] 2017 서울포커스 25.7 참여작가,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 공 연 ] 클럽안전제일_문화비축기지 개관기념 행사
[ 도 서 ] "진짜공간-건축가 홍윤주의 생활 건축 탐사 프로젝트". 프로파간다
____________서울문화재단 예술연구서적 지원선정
2016
[ 도 서 ] "네 방을 보여줘, 방춤" 출판, 스윙퍼블리셔스
문화비축기지 탐험단 추진위원, 마포석유비축기지 재생 및 공원화 사업
2015
[ 건 축 ] "강화주택", 신축 설계 및 시공
[ 건 축 ] DRP 랩토리 개보수공사. 설계 및 시공
____________동대문청년 DRP(Dongdaemun Rooftop Paradise)
[ 건 축 ] 마포석유비축기지 내 “비빌기지” 설계 및 시공
____________생활기술융합제작소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실내건축] “아까H” 레스토랑 인테리어, 설계 및 시공
[ 칼 럼 ] 한겨레 “네 방을 보여줘” 연재
2014
[ 건 축 ] 소셜하우징, '함께주택1호' 개축, 설계-감리 및 공간워크숍
____________함께주택협동조합
[ 연 구 ] “삼례문화예술촌 2차 마스터플랜”
____________스페이스 모, 완주군
[ 연 구 ] 제주문화관계형성을 위한 지역문화컨설팅, 공간전문컨설턴트
____________바람부는연구소, 제주문화재단
[ 세미나 ] “Cultivate or Revolutionize? Life Between Apartment and Farmland” 초청세미나
____________광저우시대미술관. Guangdong Times Museum in association with Casco-Oiifce for Art, Design and Theory in Utrecht.
[전시공연] "네 방을 보여줘, 방춤", 기획
____________한국문화예술위원회 다원예술 창직지원
교육
ㅁ최종학력 석사. 논문: “도시경계의 비공식 건축-서울의 하천, 철도, 성곽주변을 중심으로”
ㅁ친환경건축설계아카데미 수료, 국토해양부: 미래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인력양성 사업
홍윤주는 동네건축, 건축과 일상, 도시재생 등에 관심을 가지고 ‘生活-살아 움직이는-건축’을 주제로 ‘생활건축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다양한 건축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2005~7년에 서교동 365번지의 재생을 통한 홍대앞 지역문화 공생프로젝트 '서교365'를 시작으로 2013년 완주군 마을공동체 문화 조성 사업, '상삼마을 실용문화발전소' 등의 공공프로젝트를 공동기획,진행하였다. 논문으로는 <도시경계의 비공식 건축>이 있고, 책으로는 『홍대앞으로 와』 (공동저, 2005), 『네 방을 보여줘, 방춤』(2017), 『진짜공간, 건축가 홍윤주의 생활 건축 탐사 프로젝트』(2017), 가 있다. 2011년부터 생활형 건축지 ‘진짜공간’을 운영하는 등 여러 활동을 통해 우리 가까이에 존재하는 친숙한 건축을 세상에 알리고 있다.
진짜공간 http://JinzaSpace.com
생활밀착형 건축 웹진 ‘진짜공간’은 도시와 공간을 연구하는 방식, 방법론을 실험하고 일상을 읽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건축가주도의 멋진 공간이 아니라 주체적으로 공간을 편성한 개인들에 집중한다. 건축가 전문가에게 실려있는 힘을 일상을 구성하는 사용자에게 전도한다.
홍윤주는 건축과 일상에 관심을 가지고 ‘生活 – 살아 움직이는 – 건축’을 주제로 생활건축연구소를 운영한다.
2011년에 시작한 생활 밀착형 웹진 진짜공간(jinzaspace.com)은 도시와 공간의 연구 방법론을 실험하고 일상을 읽는 방법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다.
그 외 워크숍 및 협업 연구, 건축을 통해 건축가 주도의 공간이 아니라 개인들이 주체적으로 지은 생활 건축에 집중하고,
나아가 전문가에게 실려 있는 힘을 일상을 구성하는 사용자에게 전도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즐겁게 일해야 좋은 공간이 나온다는 생각.
멈춰있는 듯 보이지만 살아있는 공간, 살아서 움직이는 건축, 생활(生活)건축을 지향한다.
진짜공간 http://JinzaSpace.com
생활밀착형 건축지
진짜디테일 http://jinzadetail.com
아카이빙 프로젝트이 페이지를 보려면, 프레임을 볼 수 있는 브라우저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