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랑에너지 발전소 폐컨테이너 건축 DIY 프로세스 _ 자가 케이스 연구

글: 송수연 문화연대·청개구리제작소 활동가

.

.

명랑에너지 발전소는 용도가 다해서 폐기된 컨테이너를 재활용해서 만든 공간이다. 컨테이너가 입지해 있는 월드컵경기장 공용 주차장은 서울시가 소유한 공간으로 마포구가 임대해서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주차장 안쪽에 위치한 벽돌건물(현재 문화로놀이짱 사용)은 이전에는 서울시 석유관리소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석유관리소 이전으로 오랜 기간 동안 유휴공간이 되었고, 마포구의 협조로 문화로놀이짱이 입주하게 되었다.

yuioopp01

문화로놀이짱의 활동은 공간 사용 비율이 높은 편이다. 버려진 가구와 목제를 재활용해서 가구를 만들기 때문에 가구 수거에 따른 폐가구를 적재할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창고 공간과 가구제작에 필요한 충분한 공장 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사용 공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목공을 매개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제작 공장 외에 열린 공방 또한 필요조건이었다. 창고 공간 확보에 대한 고민, 그리고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목공 워크숍을 고민하던 차에 문화예술교육진흥원 별별 솔루션의 지원으로 지금의 명랑에너지 발전소가 1차로 조성되었다. 폐컨테이너 4동으로 구성된 명랑에너지 발전소는 컨테이너를 일부 개조해서 매뉴얼 도서관과 목공공방으로 운영되고 있다. 부지의 여유만 있다면 컨테이너는 계속 쉽게 확장 및 변형이 가능한 건축 아이템이기 때문에 문화로놀이짱은 지금의 컨테이너 공간을 더 확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2013현재 문화로놀이짱은 2동의 컨테이너를 구조변경하여 2층으로 증축하였다.)

최근 컨테이너 기반의 건축물들이 사무실, 집, 작업실, 공용공간 등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저비용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 때문이다. 문화로놀이짱이 컨테이너를 선택한 이유도 저비용으로 소규모 부지에 모듈화된 컨테이너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매력 때문이다.

아래 정리하는 폐컨테이너 건축 프로세스는 컨테이너 공간 공사 과정에서 문화로놀이짱 멤버들 그리고 함께 진행했던 파트너들이 직접 개조 작업을 경험하면서 가졌던 고민과 시행착오의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누군가에게 필요한 정보로, 또 다른 상상력으로 활용되길 바란다.

.

.

#1 _ 컨테이너 건축을 위한 기본 탐구

주변에서 컨테이너를 가끔 볼 기회는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가게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니어서 구입절차나 이동이 쉽지 않다. 컨테이너 선별과 구입이전에 컨테이너 건축에 대한 기본 정보와 이해가 필요하다. 문화로놀이짱은 컨테이너 건축과 아트를 소개하는 자료를 기반으로 컨테이너 건축을 경험한 팀들의 조언을 많이 참고했다.
컨테이너 DIY 건축을 위해서는 가설건축물에 대한 이해(기본 건축법), 컨테이너 부지의 조건, 개조 방법에 따른 안전성, 주변 환경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취합하고 추진 사례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조사를 통해 환경과 사용용도에 적합한 방향을 잡고 건축 프로세스를 설계한다.

.

.

#2 _ 컨테어너 고르기 ‘수명이 다한 컨테이너를 찾다!‘

컨테이너 건축은 저비용으로 부지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화로놀이짱은 컨테이너 공간 활용을 계획한 이후, 한진해운에 수명이 다한 컨테이너 후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언제 후원 받을 수 있을지 기약은 없었다. 후원 추진 중 별별 솔루션 사업과 연계되면서 사업의 추진일정에 대한 착오를 줄이기 위해 결국 화물 수송에 사용하던 수출용 컨테이너를 중고로 구입하기로 했다. 수출용 컨테이너의 경우 수출과정에 따른 흔적들과 출입구 문 등을 컨테이너의 메인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기에 좋다.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컨테이너 사이즈를 중요하게 고려한다. 컨테이너 사이즈는 다양하다. 컨테이너를 놓을 공간 사이즈와 활용도를 고려해서 컨테이너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화로놀이짱은 중고컨테이너 수급을 위해 평택, 안양, 인천 등의 컨테이너 집하장을 방문했다. 중고 물량이 나온 컨테이너를 계속 확인하면서 비용과 내구성면에서 적정하고 좋은 컨테이너를 선별해 나갔다. 2달 동안 적합한 컨테이너를 기다리고 찾는 과정에서 어렵게 구입을 결정했다. 참고로 문화로놀이짱이 구입한 컨테이너들은 폐컨테이너들로 평균 30년 이상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 것들이었다. 문화로놀이짱이 구입한 폐컨테이너 사이즈는 6*3미터이다. 중고 또는 폐컨테이너를 재활용할 경우 너무 낡은 것은 피하도록 한다. 당장은 가격이 저렴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개조과정에서 예측할 수 없는 비용들이 추가될 수 있다.

yuioopp02

.

.

#3_ 컨테이너가 위치할 땅 고르기 ‘입지가 튼튼해야 컨테이너가 버틴다’

수출용 중고 컨테이너 구입을 알아보는 동안 컨테이너가 위치할 땅을 정리했다. 컨테이너가 들어 올 공간은 오랜 시간 방치되어서 잡초와 식물들이 무성하게 자란 곳이었다. 첫 번째로 마포구 시설공단 지원으로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정리했다. 두 번째로 불도저를 이용해서 땅을 고르게 만들었다. 땅을 고르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쓰레기와 잔돌들이 나왔다. 오랫동안 방치되었기 때문에 트럭을 불러 정리를 해야 할 만큼 많은 쓰레기의 양이 나왔다.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건축하기 위해서는 입지할 장소의 지반공사가 필요하다. 무거운 컨테이너 무게 때문이다. 지반공사는 안정성과 관련이 있다. 문화로놀이짱의 경우 컨테이너가 입지할 땅이 단단한 편이었다. 전체 소요 비용을 고려해서 지반 공사는 일단 보유했다. 단 컨테이너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해 기초석으로 대리석을 사용했다. 대리석은 공사 현장에서 나온 것을 재활용한 것이다.

yuioopp03

.

.

#4 _ 빈공간 크기 실측과 도면 작성 ‘설계 방향 확정과 기초 도면 작업은 기본’

땅을 고르고 정리한 후, 전체 공간 사이즈 실측에 들어갔다. 전체 사이즈 실측은 4동의 컨테이너가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게 한다. 가용 가능한 공간 사이즈 실측을 통해 기초 도면을 구성해 간다.

yuioopp04

.

.

#5 _ 컨테이너 위치 확정과 공간 분할 ‘수평이 중요할 줄이야..’

컨테이너가 들어오기 전에 컨테이너 위치를 미리 잡아야 한다. 문화로놀이짱은 공간 실측 후 작성한 기초도면을 바탕으로 4개의 컨테이너 샘플모형을 만들고 효율적 배치 방법에 대해 계속 논의했다. 배치에는 현재의 문화로놀이짱 사용 건물과 연계한 효율적 동선 고려와 남향을 우선 고려했다.
컨테이너 위치가 결정된 후 기초 도면에 따라 위치점을 끈으로 연결하고 컨테이너 4면 위치에 말뚝을 박았다. 그리고 컨테이너가 위치할 땅이 고르지 않은 관계로 수평의 기준점이 없는 것이 문제였다. 그래서 ‘물수평’ 방법을 통해 수평 기준을 실측했다. 물수평은 고무 호수에 물을 담아 물높이 기준을 잡고 양끝의 수평을 맞추어 가는 방법이다. 물수평 측정을 통해 기초석 자리를 잡았다.
(수평을 위한 준비 도구 : 기초 도면, 줄자, 끈, 말뚝, 스프레이)

.

.

다음에 내킬 때 계속 …

.

.

yuioopp 오아름  yuioopp@naver.com

버려지는 가구와 나무를 재활용하는 사회적 기업, ‘문화로 놀이짱’의 명랑여신!

낯가림이 심해서 무표정에 말이 없으나 조금만 친해지면 방언터짐. 180도 다른 모습을 단 하루만에 볼 수 있음. 이렇게 쉬울 수가..

문화로놀이짱  http://www.norizzang.org/

.

연관글 : 수평잡기, 물수평 방법  http://www.jinzaspace.com/?p=5206

Copyright © 2013. All Rights Reserved.

Share:

Author: yuioopp

1 thought on “명랑에너지 발전소 폐컨테이너 건축 DIY 프로세스 _ 자가 케이스 연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